#와이어 프레임(wire frame)
=서비스 설계도
=서비스 제작 과정에서 설계 도면 역할
= 기획자, 리서처, 디자이너 ,개발자 등등 여러 사람이 모여서 하나의 서비스를 만들때
각자 다른 포지션에서 하나의 같은 서비스를 잘 만들어가도록 도와주는 역할
= 애자일 방식의 업무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
*애자일(Agile); 정해진 계획만 따르기보다, 개발 주기/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방식, 프로그래밍에 집중
= 간단한 선이나 프레임만 사용해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될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묘사
= 중요한 점
-> 각각의 서비스 화면에서의 레이아웃(구조)
-> 그림, 버튼, 텍스트가 어디에 위치, 화면에 담길 내용 등 콘텐츠와 사용자 흐름을 잘 나타내는 것
-> 핵심 기능을 설명하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
#와이어 프레임 작성 방법
= 사용 흐름을 나타내는 화살표 사용
= 주의할 점
-> 세부적인 아이콘, 색 등 디자인적인 요소 최대한 배제 = 간단한 도형이나 X표 사용해 표현
-> 가장 중요한 서비스의 기능, 구조, 흐름만 표현
728x90
'UI\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피그마(Figma) 시작 (0) | 2022.03.29 |
---|---|
프로토타이핑 시작 (0) | 2022.03.28 |
UI/UX 의미 이해 (0) | 2022.03.28 |